라벨이 좋은 글쓰기인 게시물 표시

(글쓰기) 틀을 잘 짜야 알맹이가 있다

이미지
  쓰는 목적과 대상, 그리고 주제를 정했다고 해서 글이 쉽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집을 짓기 전에 설계도를 짠 뒤 공사에 들어가듯 글을 쓸 때도 구상을 가다듬고 글의 전체 윤곽을 머릿속으로 미리 그려 봐야 한다.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어떻게 집어넣을지, 주제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 보여 줄지, 어떤 순서에 따라 내용을 배열할지를 미리 생각해 보아야 한다. 특히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구상을 가다듬은 뒤 개요를 작성해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개요란 글을 쓰기 전에 글 전체의 윤곽을 머릿속에 그리고,  그 내용을 도식화해 적은 것을 말한다. 즉 글의 주요 내용을 생각한 뒤 그것을 어떻게 서술할 것인지를 미리 그려 보는 것이다. 평소에 글을 잘 쓰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개요를 짠 뒤 써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 글 쓰는 사람의 생각을 전달하는 최소 단위인 단락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도 미리 생각해 봐야 한다. 핵심 주장을 앞에 놓고 그 다음에 근거를 제시할 것인지,  근거를 먼저 제시한 뒤 핵심 주장을 밝힐지 결정해야 한다. 두괄식 . 미괄식 . 양괄식은 각기 다른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또한 서론 . 본론 . 결론을 어떻게 써 나갈지도 미리 생각한 뒤 글을 시작해야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글을 완성할 수 있다. 틀이 제대로 짜이지 못하면 내용을 적절하게 담을 수 없다. 글에서 '구상' 이란 어떤 재료를 어떤 순서로 써 나갈 것인지 생각하고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구상이 신통치 않은 작품이나 내용과 동떨어진 구상으로 쓰인 글은 뛰어나더라도 호소력이나 설득력이 약하게 마련이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제에 맞도록 구상을 확실히 가다듬는 것이 중요하다. 구상을 정리하는 방법으로는 시간적 순서에 따른 것, 공간적 순서에 따른 것이 있다. 또 논리의 순서에 따른 것, 중요도나 흥미의 순서에 따른 것도 있다.

(글쓰기) 메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이미지
  메모는 기억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미국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늘 모자 속에 노트와 연필을 넣고 다니면서 좋은 생각이 떠오르거나 유익한 말을 들으면 즉시 메모하는 습관을 들였다고 한다.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은 이동하는 사무실이라고 불릴 정도로 장소를 불문하고 메모를 했다. 평생 동안 메모한 노트가 무려 3400여 권이나 된다고 한다. 오래전에 생각했던 것을 다 기억해 낼 수 없기는 누구나 마찬가지다. 특히 나이가 들면 방금 생각했던 것도 까먹기 일쑤다. 차를 타고 오면서 또는 어느 장소에 갔다가 좋은 얘깃거리가 떠올라 전체 글까지 구사앻 놓고도 집에 와서는 아무것도 생각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떠오르는 생각을 그때그때 메모해 놓지 않으면 아이디어의 상당 부분을 잃어버리게 된다. 관심 분야에 대한 내용이 게재된 신문이나 잡지 기사를 스크랩해 두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된다. 이들 기사는 관련 내용을 심층적으로 담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어떤 자료보다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오려서 철해 두는게 좋다. 음악에 관심이 많다면 음악 기사를, 영화에 관심이 많다면 영화 관련 기사를 모으는 식이다. 요즘은 인터넷에서 과거 기사를 조회하기가 편해진 측면이 있으나 그때그때 오려서 스크랩해 완전히 자신의 자료로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 찾아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신에게 꼭 필요한 자료를 즉각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늘 필요한 자료를 축적해 놓고 그것을 분류 . 정리해 두어야 한다. 메모와 스크랩만으로 자료를 완전하게 확보하기는 힘들다. 그것으로도 부족한 부분이 있게 마련이므로 필요한 부분을 평소에 보충해 둬야 한다. 궁금한 사항은 시간이 날 때마다 백과 사전이나 전문서적 등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적어 둬야 한다. 그래야 꼭 필요할 때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취재다. 취재는 기자만 하는 게 아니다.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은 전문가에게

(글쓰기) 주제(테마)를 잡는 방법

이미지
  시 . 수필 . 감상문 등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의 글은 대게 소재 -> 제재 -> 주제의 순서로 주제(테마)를 잡아 나간다. 즉 소재를 찾아 그에 의미를 부여하고 글의 주제를 이끌어 내는 순으로  생각을 다듬어 나간다. 그러나 기획서 . 보고서 . 설명문 . 기사 등은 무엇에 대해 써야 할 것인지 미리 정해지는 경우가 대부분 이므로 이와는 반대로 주제를 좁히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윤곽을 잡아 나가야 한다. 기획서 .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무엇에 대해 써 달라고 원고 청탁을 받는다면 대부분 주제에 해당하는 대략의 제목이 정해진다. 이때는 되도록 중심 내용을 구체적이고 좁은 범위로 한정해 써야 한다. 무엇에 대해 쓸 것인지 정해져도 막상 쓰랴고 하면 막연하게 느겨지는 것은 주제가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주제가 넓으면 글을 구체적으로 전개시키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상식적이고 뻔한 내용을 되풀이하기 쉽다. 따라서 주제가 주어졌을 때는 가주제(잠정적 주제)로브터 참주제(구체적 주제)로  생각을 좁혀 나가야 한다. 가주제는 글의 중심 내용으로 범위가 넓으며, 포괄적인 주제다. 글의 대체적인 내용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글쓴이가 지니는 일반적인 문제의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참주제는 대상에 대한 주장이나 관점으로 집약된 주제다. 즉 구체적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생각의 범위가 좁혀지고 어떤 대상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나 관점으로 모인 한정된 주제가 참주제다. 참주제로 생각을 좁힌 다음 글쓴이의 중심적 생각이나 주장이 반영된 주제문(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완결된 문장으로 진술한 것)을 작성한 뒤 서술하는 과정을 밟는다. 즉 가주제 ->참주제 ->주제문 작성 -> 서술의 과정을 거친다. 종이에 대고 써 보거나 머릿속으로 이렇게 구성해 나가면 된다. >주제의 종류 가주제(잠정적 주제) 글의 중심 내용으로 범위가 넓고 포괄적이며 막연한 주제. 글의 대체적인 내용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글쓴이가 지니는 일반적인 문제의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아직 글쓴이

(글쓰기) 독창적인 내용이어야 한다

이미지
  일상생활에서 흔히 듣고 보며 누구나 생각해 낼 수 있는 내용으로는 읽는 사람의 흥미를 끌기 어렵다. 따라서 재미가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재미있는 내용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주가 독창적이어야 한다. 독창적이어야 한다는 말은 내용이 참신해 읽는 사람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주제가 독창적이고 참신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독창성, 시각의 독창성 등이 바탕이 된다. 그러나 참신한 주제를 설정하는 일이 그렇게 쉽지는 않다. 우선 흔히 듣고 보며 누구나 생각해 낼 수 있는 주제를 피해 가는 것이 좋다.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얘기할 수 있는 주제는 참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읽는 이의 흥미를 끌 수 없다. # 기차의 미덕은 아마도 '비둘기'의 퇴장(2000년 11월)과 함께 사라져 버린 것 같습니다. 한 사람의 손님이 있어도 멈춰 서고, 역무원 하나 없어도 정거장 푯말이 있는 곳이면 쉬어 가던 비둘기, 어디로 갔을까요. 높은 하늘로 비상하기보다는 낮은 곳에서 사람들과 친구 노릇을 즐기던 그 비둘기 떼는, 일등의 자리를 마다하고 삼등열차로 내려앉아서 민초(民草)들과 고락을 함께하던 그 사랑과 평화의 사도들은! 아무려나, 이제 그 비둘기를 추억하는 일은 마치 저 김광섭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 를 읽는 것처럼  씁쓸한 일만 같습니다. 독수리처럼 날렵하지도 못하고, 공작새처럼 화려하지도 못한 비둘기를 생각하는 일은 결국 속도에 관한 성찰이 됩니다. 그 성찰은 '과속(過速)' 과 '질주(疾走)' 가 우리로 하여금 얼마나 많은 것을 잃고 놓쳐 버리게 하는가를 살필 수 있게 합니다. -독창적이고 참신한 글 / 윤준호 '20세기 브랜드에 관한 명상' 중 이러한 독창성은 반드시 보편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성범죄자는 무조건 사형에 처해야 한다' 거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전쟁이 필요하다' 고 한다면 독창적이긴

(글쓰기) 주제가 명확해야 한다

이미지
  하나의 글에는 하나의 주제만 담아야 한다. 주제는 글의 초점이므로 하나로 집약돼야 한다. 하나의 글에서 두 가지 주제를한꺼버네 밝히려 한다면 글의 초점이 흐려질 수 밖에 없다. 하나의 주장을 펼쳐 가다 거기에서 파생된 지엽적인 문제를 거론한다면 앞에서 제시한 논리 구조가 허물어진다. 따라서 주제는 한가지로 명확해야 한다. 글쓰기 훈련이 제대로 돼 잇지 않은 사람이 쓴 글의 특징 중 하나가 주제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주제를 명확하기 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내용의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통일성은 주제의 선명함을 드러내는 기초적인 형식을 이룬다. 문장과 문장이 통일성을 가지고 긴밀하게 연결돼야 하며, 주제를 뒷받침하는 예증이나 소재도 주제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을 선택해 긴밀한 상관성을 지니게 해야 한다. 그러자면 글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말하고자 하는 내용, 즉 주제가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일관되게 이야기를 이끌어 가야 한다. #철도노조 파업으로 열차가 단축 운행된다는 소식을 듣고 평소보다 30분 일찍 집을 나섰다. 역에 들어서니 승강장에는 벌써 평소의 몇 배가 되는 사람들로 붐볐다. 30분을 기다려서야 겨우 열차에 들어왔다. 서울이 가까워 오면서 전동차는 완전히 콩나물시루가 됐고 옴짝달싹할 수 없었다. 역에서 사람이 내리고 탈 때마다 여기저기에서 신음과 욕설이 터져 나왔다. 평소 50분 거리인 시청역까지 무려 1시간 30분이나 걸렸다. 생각하기도 싫은 지옥철이었다. &철도노조가 파업을 하게 된 것은 비정규직과 처우 문제 때문이다. 철도 노조는 신분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철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분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을 하루빨리 정식 직원으로 전환하고, 충분한 휴식이 확보되지 않는 교대근무 등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행 한다는 것이다. 철도노조느 이런 이유로 거의 해마다 파업을 벌이고 있다. 시민들이 안전한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에도 귀를 기울여